본문 바로가기

미시경제학3

선택의 문제 저번 글까지 과학적인 경제학은 결국 인간적인 학문이고 우리는 그에 대해서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의 균형을 막연히 좋을 것 같아서 이루는 것 보다 급진적으로 보이기는 하겠지만 결국 경제학에게 무엇이 진정 인간을 위한 것인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꽤나 장황하게 늘어놨던 것 같다. 사실 그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목적 중 한가지는 인간이 좀 더 인간다워야 다음을 기약할 수 있다는 도덕적인 목적이었고 나머지 하나는 결국 인간이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선택을 가지고 온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서 꺼내들기도 하였다. 즉 미시경제학에서 궁극적으로 보는 것은 합리적 선택은 무엇인지? 최적의 선택은 무엇인지를 말하고 대체로 균형에 대해서 말하거나 동등한 공식에 대입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다. 그래서 우리는 늘 .. 2009. 2. 1.
과학적인 경제학, 인간적인 경제학 미시경제학 하나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아무래도 거시경제학 보다는 "쓸모없어 보이는 미시경제학"이란 말을 이미 꺼내 들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학문이든 무엇이든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어쩌면 이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포스트모더니즘적 정신을 건방지게 내세워 보고자 "경제학은 과학인가?" 에 대해서 좀 생각해보고 "경제학은 인간적인가?" 주제를 한번 다뤄보고자 한다. 첫번째 질문에 대해 답부터 말해보자면? 잘은 모르겠지만 진짜 과학같아 보인다. 물론 이는 실증경제학에 국한된 이야기다. 경제학은 실증경제학과 규범경제학으로 나뉘게 되는데 단어가 의미하는 것 처럼 규범경제학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 가치판단의 영역을 다루기에 오히려 경영학에 가깝게 느껴지고, 주로 우리가 다루는 경제학은 그 이면의 영역의 것들 즉.. 2009. 1. 29.
참으로 쓸모없어 보이는 미시경제학 미시경제학을 보기 위해서 일단 사전들의 정의를 한번 살펴보면 위키백과 : ...(전략)...말 그대로 작은 범위의 경제학으로서, 사회를 구성하는, 하나의 시장을 분석적으로 연구한다. 시장은 소비자(사는 사람)와 생산자(파는 사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시경제학의 분석대상은, 1. 소비자 2. 생산자 3. 시장 구조이다. 이렇게 나와있다. 말 그대로 작은 부분에 관련되는 경제학이다 보니까 전체의 구조를 따지기보다는 아무래도 개개인의 의사결정에 상당한 비중이 있다. 하지만, 물론 다른 여타 학문들도 그렇겠지만 그 개개인이 합리적인 개인인 것을 가정하고, 다채로운 삶을 이론화를 위해 C.P(Ceteris Paribus,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면)를 적용하다보나 그 미시경제학이 얼마나 '우리삶'에 유용한가.. 2009. 1. 29.